"오늘은 심장 질환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부분인 '선천적 심장기형'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자 합니다. 이는 출생 전에 이루어진 심장의 구조적 변화를 의미하며, 그 종류와 특성은 다양합니다.
1. 선청성 심장기형
1) 심방사이막결손(심방중격결손, atrial septal defect; ASD)
- 심방사이막(심방중격)에 결손이 있어서 좌우의 심방사이가 연결되는 기형
- 혈압 차이에 의해 왼심방에서 오른심방으로 혈액이 흐르고 증가한 혈액이 허파동맥으로 박출되기 때문에 오른심실비대가 일어남
- 결손 정도가 심하면 허파동맥압이 상승 → 오른심방에서 왼심방으로 혈액이 흘러(와, 좌 단락) 청색증(cyanosis) 발생
2) 심실사이막결손(심실중격결손, ventricular septal defect; VAD)
- 선천성 심장 질환 중에서 발생빈도 가장 ↑
- 심실사이막(심실중격)에 결손이 있어서 좌우의 심실 사이가 연결되는기형
- 압력이 높은 혈액이 오른 심장계통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오른심장비대나 허파동맥고혈압이발생
3) 동맥관열림증(동맥관개존증,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 태생기에는 오른심실에서 허파동맥줄기로 박출되는 혈액은 대부분 동맥관을 통해 대동맥으로 유입되며, 출생 후 호흡이 시작되면 동맥관은 닫힘
- 생후에도 동맥관이 닫히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를 동맥관 열림증이라고 하며, 동맥관이 열려 있으면 대동맥에서 허파동맥으로 혈액이 유입
4) 팔로네징후(Fallot tetralogy)
- ① 허파동맥협착, ② 심실사이막결손, ③ 대동맥걸침(대동맥기승; 대동맥이 오른쪽으로 전위되어 심실사이막결손 부위에걸쳐져 있는 상태), ④ 오른심실비대가 합병된 것
- 허파동맥협착 오른심실의 혈액은 허파동맥으로 흐르기 어렵고 심실사이막결손을 통해 왼심실로 흘러들어 처음부터우→ 좌 단락이 일어남
- 영아기부터 청색증이 두드러지는 것이 특징
① 허파동맥협착(폐동맥 협착): 폐동맥의 개방이 비정상적으로 좁아져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 현상은 심장에 더 큰 부담을 주어 오른심실이 과도하게 많은 힘을 사용하게 만듭니다.
② 심실 중격 결손(심실사이막결손): 심장의 두 실 사이에 있는 벽이 완벽하게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가리킵니다. 이로 인해 산소가 풍부한 피와 산소가 부족한 피가 혼합될 수 있어, 심장이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합니다.
③ 대동맥 동맥관 동위증(대동맥걸침): 대동맥과 폐동맥이 하나의 공통 동맥관에서 나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피의 흐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④ 오른심실 비대증: 오른심실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진 상태를 나타냅니다. 폐동맥 협착으로 인해 오른심실이 더 많은 힘을 쓰게 되어, 그 결과 심장의 오른쪽 부분이 비대해집니다
이러한 기형은 대개 심장의 발달 과정에서 일어나며, 그 원인은 유전적 요인, 임신 중 모성의 건강 상태, 또는 약물과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선천적 심장기형은 그 자체의 독특한 특성과 증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의학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선천적 심장기형 환자들이 성인이 되어도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선천적 심장기형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지식은 이러한 조건을 가진 환자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병태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 질환(3) (3) | 2024.02.17 |
---|---|
심장 질환(2) (3) | 2024.02.13 |
순환기관의 구조와 기능 (7) | 2024.02.05 |
비만과 대사증후군 (6) | 2024.02.04 |
근육에 대해 알아보기(2) (1) | 202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