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태생리학

수분에 대해 알아보기

by 모든 것을 기록하는 간호사 2024. 2. 17.
728x90
반응형
반응형

수분 즉 물은 생명의 근원이며,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의 존재와 생명을 유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 중 하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물, 수분

1. 수분

1) 체내 분포

  • 인체 구성성분 중 가장 많은 부분 차지: 체중의 50~70%
  • 성, 연령, 체조직의 구성에 따라 다름 (신생아> 성인), (남성> 여성), (마른사람> 비만인)
  • 체내 수분분포

- 세포내액(2/3) : 체중의 40%

- 세포외액(1/3) : 혈장, 세포간질액

 

2) 체내 작용

  • 영양소와 노폐물 운반
  • 대사과정 관여
  • 체온조절
  • 전해질의 평형유지(세포내액: 칼륨/ 세포외액: 나트륨,염소)
  • 윤활 및 신체보호
  • 분비물 성분: 타액, 위액, 장액, 담즙 등

 

3) 수분평형

수분평형"수분성취량 = 수분 배설량" 이라는 의미

▶ 수분의 공급

  • 물, 음료(우유, 커피, 차, 주스, 콜라 등)
  • 음식(밥, 국, 어육류, 채소, 과일 등)
  • 대사수(열량영양소 대사시 생성되는 물)

▶ 수분의 배설

  • 소변
  • 피부: 땀 및 증발
  • 폐: 호흡
  • 대변

▶ 수분 평형의 조절

  • 인체는 생리상태, 활동정도, 외부환경의 변화 등에 대처하는 수분의 섭취량과 배설량 조절
  • 갈증: 시상하부
  • 항이뇨호르몬: 뇌하수체후엽

→ 체내 수분함량의 일정유지

 

 

4) 수분과 건강

▶ 탈수

  • 수분손실이 체중의 1~2%  ⇒ 갈증
  • 수분손실이 체중의 20% 이상 ⇒ 혼수, 사망

▶ 수분과잉

  • 소변으로 배설
  • 수분 중독증 - 전해질 섭취가 동반되지 않으면 발생: 두통, 메스꺼움, 구토, 근육경련, 혼수 등

▶ 부종

  • 단백질 결핍, 나트륨 과잉 보유시 발생

 

5) 영양섭취기준과 급원식품

▶ 수분필요량을 증가시키는 요인

  • 연령: 어릴수록 증가(영유아)
  • 체표면적: 클수록 증가
  • 체온상승: 운동, 높은 기온, 고열 상태
  • 식사: 고단백, 고염 식사
  • 생리상태: 설사, 다뇨증, 이뇨제 복용, 임신수유부

▶ 수분의 충분섭취량

  • 성인남자: 2600mL, 성인여자: 2100mL

 

▶ 수분섭취방법

  •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수시로, 의도적으로 충분히 섭취

 

▶ 급원식품

  • 물, 음료: 총 수분섭취량의 1/2~2/3 차지
  • 음식: 1/3~1/2 차지
  • 식품 중의 수분 함량: 오이(96%), 수박(91%), 우유(88%), 사과(87%), 두부(84%) --- 쌀(16%), 버터(13%), 과자(3%)

 


 

수분은 우리 몸에서 꼭 필요한 요소이며, 건강 유지에 큰 역할을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충분한 수분 섭취는 때때로 무시되곤 하지만, 이는 우리 몸의 기능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려면, 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음식과 음료를 통해 꾸준히 수분을 섭취해야 합니다. 또한, 수분 섭취량은 개인의 생활 패턴, 활동 수준, 신체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이에 맞추어 적절한 수분 섭취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을 위해, 매일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을 잊지 말아주세요.

 

반응형

'병태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1) 2024.03.19
소화와 흡수  (1) 2024.02.18
심장 질환(3)  (3) 2024.02.17
심장 질환(2)  (3) 2024.02.13
심장 질환(1)  (1) 2024.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