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혈액순환 및 순환장애 알아가기 2번째 시간입니다. 세부적인 주제로는 협착·폐쇄에 의한 순환장애(혈전증, 색전증, 허혈과 경색, 곁순환), 쇼크의 4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혈액응고와 혈전증
- 혈관벽이 손상을 받아 출혈이 일어나면 인체는 출혈을 멈추게 하는 응고기전(clotting mechanism)을 작동시킴
- 작은 혈관이 파열되면 혈관은 수축되고, 그 부위를 흐르는 혈류가 느려지면서 파열된 혈관벽으로 노출된 아교원섬유(콜라겐원섬유) 등에 혈소판이 점착 및 응집해서 신속하게 혈소판 덩어리가 형성(일차적응고혈전형성)
- 계속해서 혈액응고계통이 활성화되어 섬유소(피브린, fibrin)가 형성됨으로써 안정된 응고혈전이 됨
- 응고반응은 보통 외인성 응고계와 내인성 응고계로 나뉨
- 혈전증(thrombosis) : 혈액응고가 혈관이나 심장 내에서 일어나기도 하는 병적 현상
- 혈전(thrombus) : 혈관이나 심장 내에서 혈액이 굳어 생긴 덩어리
1) 혈전증의 발생기전
• 혈전형성에 관여하는 인자
① 혈관내피세포의 손상
② 혈류의 변화(혈액이 천천히 흐르거나 멈추거나 난류가 일어남)
③ 혈액성분의 변화(혈액농축, 응고인자의 증가나 활성화)
2) 혈전의 종류
(1) 동맥혈전(arterial thrombus)
- 동맥혈전은 이처럼 주로 혈소판과 섬유소로 이루어지며, 육안으로 희게 보여서 백색혈전이라고도 함
- 동맥경화등 동맥벽에 이상이 있는 부위나 심장의 염증(류마티스열, 세균심내막염), 심근경색증 등이 있는 심장내에형성되기쉬움
(2) 정맥혈전(venous thrombus)
- 정맥혈전은 주로 섬유소와 적혈구로 이루어지며, 육안으로 붉게 보여서 적색혈전이라고도 함
- 다리나 골반 내의 정맥에 생기기 쉽고, 또 온몸에 울혈이 있거나 장기간 병상에 누워있거나 비행기 등에서 장시간같은자세를 계속 취할 때 발생하기 쉬움
(3) 혼합혈전
- 혈전이 발육하여 혈전 주위의 혈류가 불규칙해지면 적혈구가 혈소판과 섬유소 그물 안에 걸려 흰 부위와 붉은 부위가번갈아 보이게 되는 것을 혼합혈전이라고 함
3) 혈전이 미치는 영향
- 혈전은 성장하여 혈관을막음. 연결(문합)을 갖지 않는끝 동맥인 경우 말초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경색 (infarction)을 일으키고, 울혈, 정맥류를 형성함
- 인체 안에는 형성된 혈전을 녹이려고 하는 기전(섬유소용 해현상)을 갖추고있으며, 이로 인해 과잉의 혈전 형성과 발육을 억제함.
- 혈전 일부가 떨어져나가 혈류를 타고 흘러가 색전증 (embolism)을 일으킴
- 기질화(organization)되어 혈관벽의 비후를 남김
- 전신의 응고계통이 어떠한 이유로 항진되면 전신의 작은 혈관 내에 미세혈전이 많이 생기는데, 그 대표적인 질환이 파종혈관내응고(DIC)임
2. 색전증
- 색전증(embolism) : 혈류를 통해 운반되어 온 비용해성 이물질에의해혈관이막히는상태
- 색전(embolus) : 혈관 안을 흘러서 혈관을 막는 이물질
- 색전이되는것에는혈전, 조직절편(골수조직, 지방조직, 종양조직, 양수), 세균, 기생충 등의 고체, 기름방울 등의 액체, 공기, 질소가스 등의 기체가있음
1) 색전증의 종류
① 혈전색전증: 혈전에서 떨어져 나온 색전이 혈관을 막아 발생
② 지방색전증: 골절이나 외상, 화상 등으로 피부 밑이나 골수의 지방조직이 파괴되었을 때 발생
③ 공기색전증: 수술 시 정맥에 공기가 들어가면 기포가 색전이 되어 허파동맥가지를 막음
④ 양수색전증: 분만 중 양수성분이 자궁벽의 정맥 내로 침입하여 발생
2) 색전의 원인과 결과
(1) 동맥색전
- 심장 내(왼심실이나왼심방)에서 형성된 혈전이 떨어져 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 동맥경화 병변에서 형성된 혈전도 색전이 될 수 있음
- 이러한 혈전성 색전에 의해 뇌경색증, 콩팥경색증, 지라 경색증 등이 발생
(2) 정맥색전
- 골반 내의 정맥이나 다리의 정맥 등에 형성된 정맥혈전이 떨어져 나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
- 허파의 혈관을 막아 허파 색전증의 원인이 됨
- 커다란 색전이 큰 허파 동맥가지를 막으면 급사의 원인이 됨
3. 허혈과 경색
1) 허혈(ischemia)
- 국소로 유입되는 동맥혈이 감소하여 조직에 필요한 혈액이 흐르지 않게 된 상태
(1) 허혈의 원인
- 혈전증, 색전증, 동맥경화, 외부의 기계적 압박 등에 의한 동맥의 협착 및 폐쇄, 혈관의 기능적인 연축(spasm)
(2) 허혈의 결과
- 서서히 진행되는 불완전한 허혈에서는 변성, 위축, 섬유화, 지방조직에 의한 치환 등이 일어남
- 갑작스럽고 완전한 허혈에서는 조직이 괴사되어 경색을 일으킴
2) 경색(infarction)
- 장기나 조직이 동맥혈의 공급을 받지 못해 허혈 상태가 된 영역이 국한성으로 괴사되는 것
(1) 경색의 원인
-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폐쇄되어 일어남
- 동맥 폐쇄의 원인으로는 혈전증 또는 혈전 색전증이 많음
(2) 경색의 종류
① 빈혈경색(anemic infarction) : 끝동맥에 의해 영양을 공급받고 있는 장기에서 일어나며 콩팥, 지라, 심장, 뇌에서 많이 발생
② 출혈경색(hemorrhagic infarction) : 일반적으로 정맥이 막힌 경우나 이중으로 동맥의 지배를 받는 장기에서 일어나기 쉬우며, 허파, 작은창자 및 뇌에서 많이 발생
(3) 경색의 결과
- 경색된 부위에서는 조직괴사가 일어남
- 괴사조직에 대해 중성구(호중구)나 큰포식세포(대식세포)의 침윤이 일어나고, 그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괴사조직을녹이거나 탐식하여 처리
- 그 후 육아조직에 의해 기질화되어 괴사로 생긴 결손부위를 채워 회복하게 됨
4. 곁순환
- 연결(문합, anastomosis) : 혈관과 혈관 사이의 연락
- 곁순환(측부순환, collateral circulation) : 연결을 가진 혈관에서는 본래의 통로에 심한 협착이나 폐쇄가 일어나면 혈액이 그 연결된 혈관을 통해 흐르게 되는 것
- 예) 간경화 시 문맥고혈압(문맥압항진증)에 의한 문맥혈의 곁순환
1. 쇼크(shock)
- 쇼크: 인체의 혈액량이 급속도로 심하게 감소함으로써 생명유지에 필요한 혈액이 공급되지 못하는심각한 병태
- 패혈증, 대량 출혈과 좌심부전 등에 의한 심장박출량의 저하, 광범위한 말초혈관 확장이 원인
1) 쇼크의 발생기전
- 쇼크의 병태는 전신을 순환하는 혈액량(유효순환혈액량)이 감소하여 발생한 미세 순환계통의 장애
- 모세혈관수축에 의한 조직의 혈류 저하가 계속되면 조직이나 세포는 저산소증(hypoxia)에 빠짐
- 비가역쇼크(irreversible shock) : 저산소증에 의해 내피세포가 장애를 받게 되면 모세혈관으로부터 혈장성분이 혈관 밖으로 누출되고 순환혈장이 더 감소되어 혈압 저하와 저산소증이심해지는상태로, 매우위험
2) 쇼크의 증상
- 쇼크가 일어나면 혈압은 저하되고 맥박은 약해지며, 피부는 차가워지고 땀을 흘리게 됨
- 심장이나 뇌, 허파, 콩팥 등이 허혈상태가 되고 그 결과 청색증(cyanosis)이나 소변량 감소가 일어남
3) 쇼크의 분류
- 저혈량성쇼크 : 외상이나 수술등에 의한 대량 출혈이나 광범위한 화상, 심한구토, 설사 등에 의한 대량의 체액상실로 일어남
- 심장성쇼크 : 심장의 펌프기능이 급격하게 장애를 받아 심장박출량이 감소됨으로써 일어남, 급성 심근경색증에 따른 심장근육의 수축력 저하나 부정맥
- 폐쇄성쇼크 : 심장 혹은 대혈관에서 혈액을 보낼 수 없게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폐색전증, 심장눌림증(심장압전), 긴장공기가슴증(긴장기흉) 등이 원인
- 혈액분포성쇼크 : 혈관의 급격한 확장으로 말초혈관 저항이 감소해 혈압이 저하되어 일어남(아나필락시스 쇼크, 패혈쇼크경성 쇼크 등이 있음)
오늘은 혈액순환 및 순환장애를 배워 보았습니다. 우리 몸에서는 혈액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며, 이를 통해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각 세포에 전달하고, 또한 노폐물을 체외로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양한 순환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우리의 건강을 위해 혈액순환에 좋은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또는 갖추도록 노력합시다.
'병태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위협 알아보기 (3) | 2024.01.27 |
---|---|
재생의료에서의 줄기세포 (3) | 2024.01.26 |
혈액순환 및 순환장애 알아가기(1) (4) | 2024.01.24 |
세포막 알아가기 (5) | 2024.01.23 |
질병의 원인과 항상성 알아보기 (1) | 2024.01.22 |